💡 지식 메모장|알아두면 좋은 간단한 지식을 기록합니다.
정치용어 '사전투표'
사전투표
사전투표제도는 선거일에 투표하기 어려운 유권자들이 별도의 신고 없이 선거일 전에 미리 투표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. 2012년 「공직선거법」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으며, 2013년 재·보궐선거에서 처음 실시된 이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전국 단위로 전면 도입되었습니다.
사전투표의 주요 특징 및 장점
편의성 증진 :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(직장인, 주말 이동이 많은 사람 등)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투표율 제고에 기여합니다.
전국 어디서나 투표 가능 : 유권자의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 신분증만 있으면 투표가 가능합니다. 이는 시간적, 공간적 제약을 크게 줄여줍니다.
투표소 혼잡도 분산 : 투표 인원을 선거일과 사전투표일로 분산시켜 선거일 당일 투표소의 혼잡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.
사전투표의 단점 및 논란
추가적인 행정적·재정적 비용 발생 : 사전투표를 위한 별도의 인력 및 장비가 필요하며, 이로 인해 선거 관리 비용이 증가합니다.
선거사무원의 업무 과중 : 이틀간의 사전투표 기간으로 인해 선거사무원의 업무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.
정보 격차 발생 가능성 : 사전투표자와 선거일 투표자 사이에 선거운동 기간 중 새롭게 밝혀지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.
신뢰성 논란 제기 : 일부에서 사전투표의 투명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으며,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CCTV 설치, 1차원 바코드 인쇄 등 투명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
투표율 제고 효과에 대한 의견 차이 : 사전투표가 투표율 상승에 기여했는지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리며, 기존 투표자의 편의를 높이는 효과는 있지만 기권자를 투표장으로 이끄는 효과는 미미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추천 | 조회 |
120 |
경제용어 '공공임대주택'
관리자
|
2025.06.20
|
추천 0
|
조회 244
|
관리자 | 2025.06.20 | 0 | 244 |
119 |
시사용어 '스윙 스테이트'
관리자
|
2025.06.07
|
추천 0
|
조회 433
|
관리자 | 2025.06.07 | 0 | 433 |
118 |
경제용어 '추가경정예산'
관리자
|
2025.04.21
|
추천 0
|
조회 874
|
관리자 | 2025.04.21 | 0 | 874 |
117 |
법률용어 '공소기각'
관리자
|
2025.04.19
|
추천 0
|
조회 878
|
관리자 | 2025.04.19 | 0 | 878 |
116 |
시사용어 '양비론'
관리자
|
2025.04.19
|
추천 0
|
조회 864
|
관리자 | 2025.04.19 | 0 | 864 |
115 |
경제용어 '적격비용'
관리자
|
2025.03.22
|
추천 0
|
조회 1137
|
관리자 | 2025.03.22 | 0 | 1137 |
114 |
법률용어 '공익신고자 보호법'
관리자
|
2025.03.16
|
추천 0
|
조회 1119
|
관리자 | 2025.03.16 | 0 | 1119 |
113 |
시사용어 '휴민트'
관리자
|
2025.03.07
|
추천 0
|
조회 697
|
관리자 | 2025.03.07 | 0 | 697 |
112 |
정치용어 '사전투표'
관리자
|
2025.03.06
|
추천 0
|
조회 722
|
관리자 | 2025.03.06 | 0 | 722 |
111 |
시사용어 '완전국민경선제(Open primary)'
관리자
|
2025.03.05
|
추천 0
|
조회 826
|
관리자 | 2025.03.05 | 0 | 826 |